반응형

CR : Carriage Return
LF : Line Feed

간단하게 타자기를 생각을 하면 한글자씩 입력하면 먼지 옆으로 한칸씩 밀려나고,
한줄을 다 입력하고 나서는 그걸 왼쪽으로 밀어 주고 또 입력을 하는 것을 영화에서 봤을 것이다.

간단하게 한줄에서 왼쪽 끝으로 밀어주는것이 CR이고
다음 줄에 입력을 하도록 종이를 한줄 밀어주는것이 LF 라고 할수 있다.

어떤 연유에서 처리 방법들이 엔터를 CR+LF(\r\n)으로 처리하고
Unix/Linux계열에서는 엔터를 LF(\n)으로 처리하고
MAC 계열에서는 엔터를 CR(\r)로 처리한다고 한다.

굳이 Dos/Windows 상황에서 \r\n의 차이점을 느끼려면 파일을 읽을 때 binary모드로 읽으면
파일에 엔터가 \r\n으로 표기되지만 ASCII 모드로 읽으면 \n 으로만 표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Windows 는 개행을 carrige return 과 line feed 이 두개의 문자를 개행코드로 하고,
Unix는 line feed를 개행코드로 하며, Mac은 Carrige Return 을 개행코드로 한다

퍼온 곳 : http://seongunism.tistory.com/65
반응형

'Coding Tip > Win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eateProcess시 핸들 누수 현상  (3) 2011.08.17
반응형



사실 모든 Path를 외우지 않는 이상 창을 분할해서 열어서 편집할 때 그 파일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기 어렵다.
그래서 Vim에서는 윈도우 탐색기와 같이 디렉터리 탐색기 플러그인 툴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데 netrw 라는 툴이다.
이 기능은 창을 분할하여 탐색하고 동시에 편집도 가능하게 해주는 강력한 Vim의 툴로써 그 사용법을 알아두면 매우 이로울 것이다.

------------------------------------------------------------------------------------------------------------------------------------

 명령어  설명  모드
 :e 디렉토리경로  명령행 모드에서 edit 또는 e를 한 다음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에 대해서 netrw 툴이 실행된다.  명령행 모드
 <Enter>  해당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연다.  netrw 명령어
 w 또는 j 또는 방향키 ↓  netrw 내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키  netrw 명령어
 b 또는 k 또는 방향키 ↑  netrw 내에서 위로 이동하는 방향키  netrw 명령어

 i  파일을 표시할 방법을 변경한다.
(한줄 방식, 파일 정보 표시방식, 와이드 방식, 트리 방식)
 netrw 명령어
 s  정렬 방식을 바꿔준다 (time, size, name 방식)  netrw 명령어
 o  커서 위치의 파일을 수평 분할된 새창으로 열어준다.  netrw 명령어
 v  커서 위치의 파일을 수직 분할된 새창으로 열어 준다.  netrw 명령어
 p  커서 이취의 파일을 미리 보기 창으로 열어준다. (미리 보기 파일의 창 닫기는 일반 모드로 CTRL-w z 를 사용한다)  netrw 명령어
 P  커서 위치의 파일을 바로 이전에 생성된 창에 열어준다. 바로 이전에 생성된 창이 없을 시에는 수평 분할된 새 창으로 열어준다.  netrw 명령어
 R  커서위치의 파일의 파일명을 바꾼다.  netrw 명령어
 t  새로운 탭으로 분할하여 열어준다.  netrw 명령어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디렉토리가 보이는 것에서 ../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엔터를 눌러도 된다.  netrw 명령어



현재 수평분할해서 파일을 하나 열어 놓은것을 확인할 수 있다. (s 키)
수평분할된 창에서 아래창을 보면 Netrw 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는데
/root 로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Sorted by 즉 정렬방식은 name으로 되어 있고
파일 표시 방식(i 키)를 이용하여 정보표시방식으로 되어 있다.
현재 커서의 위치는 하얀색 가로 줄로써 확인할 수 있다. 
Quick Help라고 써 져있는 부분을 보면 간단한 실행 단축키를 알 수 있다. 더욱 자세한 설명은 F1 키를 눌러 Help를 참고하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