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B2 데이터 베이스 사용 시 원격 머신의 인스턴스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엑서스 해야함.
이때 <원격 서버 머신의 IP 주소>와 <원격 서버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원격 노드를 등록.

- catalog tcpip node 명령어를 사용함.

DB2가 설치된 서버 머신에서 인스턴스 사용자로 로그인 하여 <IP 주소> 를 확인함. 
서버 머신의 인스턴스 구성 변수인 SVCENAME이 서비스명이면 /etc/services 파일에 정의된 포트 번호를 확인. 이 값이 뒤에 설정하게 될 db2 의 <원격 서버 포트 번호>가 됨.



1. 지역 노드 설정 


원격지에서 catalog tcpip node 명령어로 원격 서버 머신의 인스턴스를 등록함.
앞에서 확인한 <원격 서버 IP 주소>와 <원격 서버 포트 번호>를 입력한다.
등록된 원격 노드 정보는 uncatalog node 명령어로 제거할 수 있다.

ex) db2 uncatalog node <노드 명>


$> db2 catalog tcpip node <노드명> remote <IP 주소> server <포트 번호>
$> db2 list node directory




2. 원격 데이터 베이스 등록


원격 노드 또는 지역 노드에 존재하는 원격 데이터베이스 catalog db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베이스 별칭(aliasname)으로 등록하여 엑서스 함. catalog db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격 데이터베이스를 등록함. <등록할 데이터베이스 별칭>은 유니크한 데이터베이스 별칭으로 정함.


$> db2 catalog <DB 이름> as <별칭> at node <노드명>




3. Connect 문을 이용하여 원격 데이터베이스 정상 접속 확인


$> db2 connect to <별칭> user <ID> using <PASSWORD>












반응형

'DB > DB2'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2 Server Hostname 변경하기  (0) 2014.04.04
반응형
출처 : 리그 오브 레전드


소환사 여러분

3월 22일(토) 10:31 부터 적용되는 업데이트 내용입니다.

버그 수정
• 하이머딩거가 Q - H-28G 진화형 포탑 스킬의 레벨을 높이면 사망 후 포탑 부품이
한 번에 3개씩 늘어나는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 하이머딩거 사망 후 부활 시 간혹 주위에 떠다니는 너트 개수가 실제 포탑 설치 개수와
일치하지 않던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